허준이 교수, 한국 수학자 최초 필즈상 수상 쾌거(종합) | 연합뉴스
한국서 어린 시절보내고 석사까지 마친 '국내파'
리드 추측, 로타 추측 등 수학계 난제 증명으로 주목
한국계 수학자인 허준이(39. June Huh)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겸 한국 고등과학원(KIAS) 수학부 석학교수가 5일(현지시간) '수학 노벨상' 필즈상의 영예를 안았다.
국제수학연맹(IMU)은 이날 핀란드 헬싱키 알토대학교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허 교수를 필즈상 수상자로 발표했다.
미국 국적이지만 한국 수학자로서는 최초 수상이다. 이전까지 한국계나 한국인이 이 상을 받은 적은 없었다.
1936년 제정된 필즈상은 4년마다 수학계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루고 앞으로도 학문적 성취가 기대되는 40세 미만 수학자에게 주어지는 수학 분야 최고의 상으로 아벨상과 함께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린다.
한번 시상할 때 보통 2∼4명의 수상자를 선정한다. 이날 시상식에선 허 교수 외에 3명이 공동 수상했다. 수상자 중에는 우크라이나의 마리나 비아조우스카도 포함됐다. 비아조우스카는 필즈상 사상 두번째 여성 수상자다.
(생략)
허 교수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나 두 살 때 아버지 허명회 고려대 통계학과 명예교수와 어머니 이인영 서울대 노어노문과 명예교수와 함께 한국으로 돌아온 뒤 초등학교부터 대학 학부와 석사 과정까지 한국에서 마쳤다.
2007년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물리천문학부 학사, 2009년 같은 학교 수리과학부 석사 학위를 받았고, 박사 학위는 2014년 미국 미시간 대학교에서 받았다.
허 교수는 박사 과정을 위해 미국으로 유학길을 떠난 이후 '리드 추측'과 '로타 추측' 등 오랜 수학 난제들을 하나씩 증명하면서 수학계에 명성을 떨쳤다.
리드 추측은 채색 다항식을 계산할 때 보이는 계수의 특정한 패턴을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1968년 제기된 수학계 난제 가운데 하나였다.
허 교수는 뛰어난 연구 업적과 왕성한 연구 활동으로 앞서 사이먼스 연구자상, 삼성 호암상, 뉴호라이즌상, 블라바트닉 젊은과학자상 등을 받은 바 있다.
[인터뷰] 허준이 교수 "필즈상에 무게감…포기할 줄도 알아야" | 연합뉴스
"수학 영웅들 이름 밑에 내 이름 부담스럽고 묘한 기분"
"수학자로서 이대로 열심히, 조용히 공부하며 살았으면"
(생략)
허 교수는 "제가 굉장히 특이한 경우라기보다는 최근 한 10∼20년 사이에 한국 수학이 굉장히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IMU는 올해 2월 한국 수학의 국가 등급을 4그룹에서 최고 등급인 5그룹으로 승격을 확정했다. 한국은 1981년 1그룹 국가로 국제수학연맹에 가입한 이후 최단기간에 5그룹으로 승급한 나라가 됐다. 현재 5그룹 국가는 한국과 독일, 러시아, 미국, 영국, 이스라엘, 일본, 중국, 프랑스 등 12개국이다.
허 교수는 "지난 30∼40년간 최저 등급에서 최고 등급까지 올라간 것은 거의 유례가 없는 것으로 안다"며 "제가 딱히 도드라졌다기보다는 3,40대 젊은 수학자들이 굉장히 잘하고 실력이 좋아 그런 연구 성과들이 등급 상향 결정에 반영된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생략)
한국 수학자의 첫 수상에 대해 그는 "우리나라는 전후에 굉장히 혼란스러웠는데 학문이 체계적으로 발전하려면 안정된 대학과 정부의 지원과 여러 조건이 갖춰져 야 한다"며 "그런 조건이 갖춰지기 시작한 게 비교적 최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런 면에서 우리나라가 늦기는 했지만 조건 면에서 이제 다 동일선상에 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한국 수학계가 계속 발전해나가려면 연구자가 마음 편히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이 잘 갖춰져야 한다면서 장기적인 투자를 강조했다.
자신의 연구법에 대해 "목표를 딱 정하고 일하는 스타일은 아니다"며 "보통 새로운 구조를 발견하고 그에 맞는 이론을 개발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렇게 이론의 꼴이 잘 갖춰지면 그 렌즈로 그 전에 이해하지 못했던 것 중에 무엇을 이해할 수 있는지를 본다"며 "일단 도구를 미리 만들고 이것으로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문제를 나중에 보는 방식"이라고 소개했다.
(생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허준이 교수, 필즈상(Fields Medal) 수상<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수학 노벨상이라 불리는 필즈상 수상 -
□ ’22년 세계수학자대회(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ICM)*에서 수학계에 중요한 공헌을 한 40세 미만의 수학자에게 수여하는 ‘필즈상(Fields Medal)’을 허준이 교수(美 프린스턴대 및 韓 고등과학원)가 수상하였다.
* 4년마다 국제수학연맹(International Mathematical Union, IMU)에서 개최하는 국제대회로, 금년은 국제정세로 인해 비대면(virtual) 개최되고, 총회와 필즈상 수상식은 핀란드에서 개최
o 필즈상은 수학자가 받을 수 있는 가장 영예로운 수학분야 최고 권위 상으로, 수학 노벨상이라 알려져 있으며,
o 허교수는 조합 대수기하학을 통해 조합론의 난제를 해결하고 대수기하학의 토대가 더욱 확장되도록 새 지평을 연 공로를 인정받아, 한국계 최초로 필즈상 수상의 쾌거를 이룩했다.
□ 허교수의 연구분야는 조합 대수기하학(combinatorial algebraic geometry)으로, 이는 대수기하학(algebraic geometry)*을 통해 조합론(combinatorics)**의 문제를 해결하는 비교적 새로운 분야이다.
* 1·2차 다항식으로 직선·평면·타원·쌍곡선을 표현·분석하는 것처럼 대수학으로 기하를 연구하는 학문
** 유한·가산적 대상들에 대하여, 주어진 성질을 만족시키거나 극대화하는 것을 연구하는 학문
o 허교수는 조합 대수기하학 기반의 연구들을 통해 수학자들이 추측 형태로 제시한 다수의 난제(conjecture)를 해결하여 왔는데, 특히 대표적 난제로 알려진 리드 추측* 등을 일찍이 해결하였다.
* 여러 개의 꼭짓점들을 선분으로 연결하고, 연결된 점들까지는 다른 색으로 칠하는 경우의 수를 사용된 색의 개수에 관한 함수로 표현할 때, 함수는 다항식이 되는데 그 다항식의 계수들의 커지고 작아지는 경향을 추측
o 이와 같이 대수기하학에 대한 강력한 직관을 바탕으로, 조합론 난제들을 공략하는 등 서로 다른 이 두 분야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것은 두 분야 모두에 정통한 수학자만이 시도할 수 있는 매우 어려운 연구이다.
o 아울러, 이러한 허교수의 연구 업적들은 정보통신, 반도체 설계, 교통, 물류, 기계학습, 통계물리 등 여러 응용 분야의 발달에도 깊이 기여해 왔다.
□ 한편 리드 추측에 대한 연구의 선행 연구(밀너 수에 관한 연구 등)는 서울대 석사과정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허교수의 많은 연구가 KIAS Scholar로 고등과학원에 있는 동안 이루어졌다.
o 금번 허교수의 필즈상 수상은 올해 국제수학연맹(IMU)에서 한국의 수학 국가등급을 최고등급으로 상향*한 것에 이은 기쁜 소식으로,
* ‘22. 2월 한국의 수학 국가등급을 최고등급(4그룹→5그룹)으로 상향
- ‘81년 1그룹 국가로 IMU 가입 이후, 회원국 중 최단기간 內 최고등급(5그룹)으로 상향
- (現 5그룹) 한국, 독일, 러시아, 미국, 브라질, 영국, 이스라엘, 이탈리아, 일본, 중국, 캐나다, 프랑스
o 韓 고등과학원 석학교수, 美 프린스턴대 교수로서 앞으로 한국과 미국을 오가며 국내외 수학자들과 활발한 연구활동을 한층 넓혀나갈 허교수의 행보와 한국 수학계의 지속적 발전 역시 기대된다.
□ 허준이 교수는 “제게 수학은, 개인적으로는 저 자신의 편견과 한계를 이해해가는 과정이고, 좀 더 일반적으로는 인간이라는 종이 어떤 방식으로 생각하고 또 얼마나 깊게 생각할 수 있는지 궁금해 하는 일입니다”라며,
o “저 스스로 즐거워서 하는 일에 의미 있는 상도 받으니 깊은 감사함을 느낍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끝.
Fields Medals 2022 | International Mathematical Union (IMU)